반응형

요즘 코로나19 덕분에 집에 돌아오면 아주 분주합니다.

 

손 씻기, 옷 살균, 스마트폰 알코올 소독.

가족과 함께 생활하기 때문에 목욕도 바로 해버립니다.

 

화장실 변기보다 세균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 스마트폰, 잘 관리하고 계시죠?

 

코로나 감염 속도는 빨라지고 있는데 감염 경로는 아직 제대로 파악되고 있지 않아 답답한 심정인데요. 이게 공기 중으로 전파가 되는지 타인의 접촉이나 분비물로 인해 전염이 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가장 손을 많이 타는 스마트폰을 청결히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 클리너

 

가장 쉽게 스마트폰을 소독할 수 있는 방법은 알코올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약국이나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클리너'나 '스마트폰 소독'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해보면 다양한 제품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프레이 방식이나 알코올 솜을 구매하셔서 꼼꼼하게 닦아주시면 됩니다! 회사에서는 손소독제를 아예 자리에 두고 자리를 잠깐 비우고 돌아올 때마다 함께 이용하고 있습니다. 공용 공간에서는 다른 사람이 만진 부분을 저도 접촉할 일이 일상다반사기 때문이죠.

 

스마트폰을 실컷 청소해놓고 오염된 손으로 다시 만진다면 의미가 없겠죠?

 

 

2. 살균기

 

'스마트폰 살균기'라 검색을 해보면 10만 원 이하부터 10만 원 넘는 것까지 꽤 다양한 제품을 볼 수 있습니다. 저도 사용해보진 않았지만, 충전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제법 편리한 아이템으로 보입니다.

 

기회가 된다면 꼭 사용해보고 싶네요.

 

 

 

 

미세먼지 문제만 해도 골머리 앓고 있는데, 이제 코로나 바이러스까지 겹치니 외출하는 일이 세상 번거롭습니다. 수입이 줄거나 하시는 분들도 많을 것 같아서 걱정되기도 합니다.

 

지난 2015년 메르스가 꽤 장기화돼서 7~8개월을 고생했던 걸로 기억하고 있는데요, 코로나도 장기화되지 않길 바랄 뿐입니다.

 

모두 개인위생 철저히 하셔서 잘 비켜가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5G 이동통신이 국내에서 상용화된지 거의 1년이 되어 갑니다.

 

5G란 LTE(4세대 이동통신)의 다음 기술로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New Radio(NR)'이라는 명칭으로 정해졌다고 합니다. 그런데 상업적으로 쓰일 때는 NR을 사용하지 않고 5G라고 많이 쓰이는 것 같습니다.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2019년 4월부터 5G 요금제를 만들어 소비자들에게 선보이기 시작했고, 5G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은 통신 3사 모두 수도권 및 주요 도시들로 아직 제한적입니다.

 

 

 

 

통신 속도가 이전 세대인 LTE보다 잘 나오지 않는 등 운영 초반에는 문제가 많았던 걸로 보입니다. 현재는 개선되어 월등한 속도를 자랑하긴 하지만 소비자들에게 큰 반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존 서비스로도 동영상과 음악 등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고, 주요 도시를 벗어나면 이용할 수 없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5G를 이용하려면 전용 단말기도 필요합니다. 또 5G의 장점을 살릴만 한 컨텐츠가 없다는 이유도 있습니다.

 

물론 5G 본연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편리함을 느끼는 분들도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5G 요금제로 갈아탈 생각은 없는데, 5G 요금제가 아직은 비싸다고 생각되고(3G 끝물때처럼 저렴한 LTE 요금제가 많습니다) 위에서 얘기한 단점들 때문입니다. 제 생활을 바꿀만한 이점이 크게 없어 보였습니다.

 

5G 이동통신은 도입 초기에만 반짝했지, 점점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애플이 아직까지 5G를 지원하는 아이폰을 출시하지 않은 이유와도 관련 있다고 봅니다.

 

그럼 5G 기술은 언제쯤 대중화가 되고, 어느 분야에서 먼저 두각을 나타낼까요?

전문가들은 자율주행차 분야를 주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자율주행차는 주변의 차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며 달리기 때문에 네트워크 성능이 매우 중요합니다.

 

저는 게임 시장의 변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구글, 엔비디아 등 대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스트리밍 게임 서비스를 준비하거나 이미 운영하고 있습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고사양의 콘솔 게임이 플레이되는 시연 장면은 꽤 충격적이었습니다. 5G 기술이 좀더 대중화되고 가격이 저렴해진다면 고사양 게임은 물론 VR게임 발전에도 큰 영향을 줄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사물인터넷이라고 하는 시장에서도 다양한 제품들과 결합되어 신기한 방식으로 이용되는 서비스들이 쏟아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5G도 기술적인 한계는 있습니다. 다양한 기기와 접목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이슈에 대한 경험이 적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무선 이동통신의 사용은 주로 스마트폰에 한정적이었지만, 자율주행차 등 다른 기기들에도 사용된다면 그에 따른 해킹 위협을 잘 제거하여 개발해야 할 것입니다.

 

세부적인 기술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구조적으로 5G 기술 자체가 이전 세대보다 보안상 취약한 부분이 있다고 합니다. LTE는 폐쇄적인 구조인대 반해, 5G는 분산 구조형의 개방형으로 되어 있어 해킹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하네요.

 

올해는 5G를 지원하는 아이폰이 출시된다는 루머도 있고, 활발한 자율주행차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며, 클라우드 게임이라고 지칭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도 다수 준비중에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5G의 범주 안에서 앞으로 세상을 바꾸거나 혹은 사람들의 실생활에 깊숙히 들어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직 대중적인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는 5G이지만, 기대감도 주는 5G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위쳐' 시즌1을 몰아쳐서 본 당신, '의외성의 법칙'으로 원하는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전 1초도 망설이지 않고 넷플릭스에게 시즌2를 내놓으라고 요구할 것입니다.

 

고작 8개의 에피소드로, 1년 넘게 다음 시즌을 기다리라고 하는 게 너무 가혹하다고 생각하는 건 저뿐인가요? 그만큼 너무 재밌게 본 드라마인 것 같습니다.

 

 

 

 

드라마를 보기 전, 위쳐 시리즈의 게임을 알고 있었기에 게임이 원작인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폴란드 작가인 안제이 사프콥스키가 1990년 대에 원작 소설을 썼었고, 동유럽에서 시작되어 영미권에서도 서서히 인기가 많아졌다고 하네요.

 

원작 소설과 게임의 디테일한 배경이나 설정이 다른 점이 있다고 하는데, 드라마 위쳐는 원작 소설을 따르려고 노력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2021년에 공개 예정된 시즌2를 기다리기 힘들다면? 한국어로 번역된 10권의 원작 소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원래 단편 2권, 본편 5권, 프리퀄 1권 등 8권이 출판되었지만 이 중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은 편이 있고, 한 권 분량을 상하로 나누어 출판하는 경우도 있어 한국어 번역본을 찾을 때 헷갈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원문판 한국어 번역판
단편 이성의 목소리 (1993년) 위쳐 - 이성의 목소리
운명의 검 (1992년) 위쳐 - 운명의 검 (상/하 2권)
본편 엘프의 피 (1994년) 위쳐 1 - 엘프의 피
경멸의 시간 (1995년) 위쳐 2 - 경멸의 시간 (상/하 2권)
불의 세례 (1996년) 위쳐 3 - 불의 세례 (상/하 2권)
제비의 탑 (1997년) 위쳐 4 - 제비의 탑 (상/하 2권)
호수의 여인 (1999년) X
프리퀄 폭풍의 계절 (2013년) X

 

 

이 외에도 '더 위쳐(1990년)', '끝과 시작(2000년)' 등의 제목으로 출판된 시리즈가 있지만 다른 편으로 편입되거나 위쳐 스토리와 별개로 구분되는 등 복잡한 히스토리가 있는데, 신경 쓸 필요 없이 위 표에 정리된 내용만 알고 있으면 전체 스토리를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한국어 번역본은 '제우미디어'라는 곳에서 출판하고 있는데요, 아마 변역 분량과 가격 문제 때문에 상하권으로 분리하지 않았나 싶네요.

 

아직 출판되지 않은 본편도 순차적으로 출간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폭풍의 계절까지 출판을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단편의 경우 운명의 검이 먼저 출판되긴 했지만 이성의 목소리가 더 앞의 이야기라 국내에 출간될 때도 먼저 나온 것 같습니다. 단편부터 보실 경우 이성의 목소리부터 읽으시면 될 듯합니다.

 

단편은 짤막한 에피소드들로 구성되어 있어 흐름이라는 것이 없고, 본편부터 본격적인 사건이 생기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고 합니다.

 

자, 이제 위쳐 입덕 준비가 끝났습니다.

리비아의 게롤트를 만나러 가시죠.

 

반응형
반응형

 

얼마 전 드디어 구글 애드센스 가입을 성공했는데요, 어떻게 승인받았는지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애드센스 가입 전, 책이나 구글링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취합했고 나름의 수칙을 세워서 실행을 했습니다.

선행 작업으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와 구글 서치 콘솔에 블로그 주소를 등록하고 사이트맵도 작성하여 함께 등록해주었습니다.

 

 

# 블로그 작성 기준 #

 

1) 글자 수는 공백을 제외하고 1500자 내외를 유지한다.

 

2) 적어도 1~2일에 하나의 포스팅을 한다.

 

3) 이미지는 1~3개 정도만 첨부한다.

 

4) 키워드를 조사하여 유입을 늘린다.

 

5) 본문 링크는 가급적 자제한다.

 

6) 맞춤법을 지키고 주어가 혼동되지 않도록 작성한다.

 

7) 공통된 주제의 글을 적는다.

 

 

기억나는 작성 기준은 대충 이 정도인 것 같습니다.

 

1번은 대부분의 블로거들이 강조했던 부분이고 5번은 상황마다 다른 것 같았지만 저는 넣지 않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습니다. 2~3번은 주관적으로 정한 부분입니다. 

 

아무도 방문하지 않는 일기형 블로그가 되면 승인 확률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구글 입장에선 당연히 그렇겠지요? 어떤 글을 쓸지 아이템을 정하고 나면 네이버 광고 시스템이나 구글 Ads 키워드 플래너를 통해서 나름 키워드 연구를 하고 난 뒤에 글을 작성했습니다.

 

또 어떤 글을 보니 구글 봇이 심사를 담당하기 때문에 번역이 어려운 문체를 쓰게 되면 불리하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글을 공개하기 직전에 항상 맞춤법 검사를 실행하고, 주어를 생략하는 구어체나 기교를 지양하려고 애썼습니다.

 

영화 리뷰를 쓰다가 IT 관련 글을 적는 등 일관되지 않은 주제로 포스팅을 하면 안 된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IT 관련 주제로 방향을 정하고 제품 리뷰와 스펙 정보 등을 주요 소재로 포스팅을 했습니다.

 

이렇게 룰을 잘 지키며 포스팅을 했지만, 첫 번째 도전은 실패였습니다.

애드워즈 승인 신청 당시의 포스팅 수는 20개 정도였고, 방문수는 500이 좀 안됐던 걸로 기억합니다.

 

약 보름 후에 결과 메일이 도착했고, 승인 거절 메시지는 콘텐츠 가치 부족!

블로거마다 10개의 글로도 통과되었다는 사람도 있고, 더 적은 글로도 된 사람이 있다는 정보가 있었기 때문에 방문수가 부족한 게 아닌가 생각을 했습니다. 

 

구글 봇 따위가 어떻게 이럴 수 있는지, 시간을 쪼개가며 열심히 적었는데...라는 생각을 하며 잠깐 좌절했지만 방문수를 늘리기 위해 꾸준히 포스팅을 하자고 다짐했습니다!

 

기존의 블로그 작성 기준은 바꾸지 않고 꾸준히 글을 늘리다가 10개의 포스팅을 추가한 뒤에 다시 승인 요청을 했습니다. 적어도 20개의 포스팅을 더 작성하고 나서 재신청을 하려고 했는데, 갑자기 방문수가 늘어서 1000이 넘었을 때 바로 신청을 해보았습니다.

 

다시 보름의 시간이 지나고, 드디어 성공! 역시나 방문수가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나름 공을 들인 시간이 있어서 그런지 자격증 하나 딴 것처럼 기분이 매우 즐겁네요. :)

 

제 글을 보러 와주셨던 분들 모두 고맙습니다. 그리고 이 글을 보시는 모든 분들도 꼭 애드센스 가입 성공하시길 빌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블랙프라이데이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평소 눈여겨봤던 아이템들을 들일 채비를 하고 계실 텐데요, 이벤트가 며칠 남지 않았지만 미리 할인행사 중인 제품들이 있어서 급하게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에어팟 프로를 비롯해 몇 가지 제품들이 있었는데요, 이 중 가성비 좋고 유효한 것들만 추렸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해외직구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습니다!)

 

 

삼성 70인치 LED TV

 

먼저 삼성전자 70인치 LED TV입니다. 베스트바이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550에 판매 하고 있습니다. 

 

보러 가기 링크

 

국내에서 70인치 LED TV를 약 140만 원으로 구매할 수 있는 것을 보면, 세금과 배송비를 더하더라도 얼마나 저렴한지 알 수 있습니다. 해외 판매 제품은 기능과 A/S 제약사항이 있다고 하니 잘 알아보고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애플와치 3

 

다음은 애플 와치 시리즈 3입니다. 월마트에서 팔고 있고 379,000원 셀룰러 모델을 $199 가격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보러 가기 링크

 

 

아이디어패드 130S

 

마지막으로 Lenovo의 아이디어패드 130S 노트북입니다.

 

보러 가기 링크

 

주요 스펙은 인텔 셀러론 N4000 프로세서, 4GB 메모리, 64GB 저장공간 등입니다. 낮은 스펙이지만 윈도우 10 운영체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웹서핑이나 문서 작업용으로는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국내에서는 약 45만 원에 구할 수 있지만, 이벤트 가격은 $179로 거의 반값에 구매할 기회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두고 미리 할인 행사를 하고 있는 괜찮은 아이템들을 살펴봤습니다.

 

에어팟 프로는 아마존에서 $235에 판매 중인데요, 세금 등을 합치면 국내 판매가와 높거나 큰 차이가 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TV나 스마트와치, 웹서핑용 노트북을 고려하고 있다면 이번 '얼리 블랙프라이데이' 행사를 주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침.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맥북 프로, 맥북 에어 시리즈에 이어 맥북 시리즈의 모델명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맥북 시리즈는 2006년부터 생산되다가 2011년에 한 번 단종되었고, 2015년부터 다시 출시되기 시작했다가 2017년에 다시 한번 단종된 제품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비교적 최신 모델인 2015년 부터 2017년까지의 맥북 시리즈만 살펴보겠습니다.

 

 

맥북 에어와 맥북 12인치

 

 

모델명을 네이버 쇼핑 등 최저가 비교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본인에게 맞는 스펙  색상 상품을 바로 찾아볼 수 있고, 어떤 스펙의 맥북을 구매할지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2017년 모델

MNYF2KH/A, MNYG2KH/A, MNYH2KH/A, MNYJ2KH/A, MNYK2KH/A, MNYL2KH/A, MNYM2KH/A, MNYN2KH/A

 

2016년 모델

MLH72KH/A, MLH82KH/A, MLHA2KH/A, MLHC2KH/A, MLHE2KH/A, MLHF2KH/A, MMGL2KH/A, MMGM2KH/A

 

2015년 모델

MF855KH/A, MF865KH/A, MJY32KH/A, MJY42KH/A, MK4M2KH/A, MK4N2KH/A

 

"각 모델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열될수록 좀 더 좋은 사양이 좋거나 색상이 다른 맥북 모델입니다."

 

2017년 모델에서 가장 좋은 사양으로 구매한다고 가정하고, 가장 오른쪽의 'MNYN2KH/A' 모델명으로 네이버 쇼핑에서 검색해보겠습니다.

 

검색 결과

 

검색 결과, 여러 판매처에서 해당 모델명의 맥북을 판매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로즈골드 모델이네요. 이러한 방식으로 모델명을 검색해보면 원하는 색상과 스펙의 맥북을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맥북의 모델명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요, 맥북에어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그래픽 및 동영상 작업이나 게임 플레이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합니다. 문서 작업이나 웹서핑 등의 가벼운 작업 위주로 사용하실 분이라면 맥북의 모델명을 참고해서 구매를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맥북 시리즈는 맥북 에어 라인업에 밀려서 2017년 단종되었지만 1kg을 넘지 않는 무게로 맥북 에어보다는 가벼운 장점이 있습니다. 가벼운 무게 덕분에 어떤 맥북을 구매할지 고민을 던져주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및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마침.

반응형
반응형

 

여러분, 카카오 콘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어느 날 카카오톡을 하던 중 어찌어찌하다 보니 카카오 콘을 알게 되었는데요, 포인트 개념으로 뭔가 적립되기는 하는데 이걸 어디다 써야 할지 어떻게 적립을 해야 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카카오 콘은 카카오가 새롭게 선보인 보상 시스템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서비스한다고 합니다.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의 사이드체인 기반으로 발행되었다고 하는데, 다소 복잡한 기술적인 내용을 자세히 알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카카오에 따르면 보상 지급 과정의 투명성을 위해 블록체인을 이용할 뿐 다른 이유는 없다고 합니다.

 

 

카카오콘 메인

 

 

카카오콘 서비스의 메뉴는 카카오톡 네 번째 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상단 프로필 영역의 오른쪽을 보면 귀여운 콘 이모티콘과 함께 카카오 콘 보유수가 함께 표시되고 있습니다. 여기를 누르면 카카오 콘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 콘을 받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카카오콘 서비스 사용 (10콘)

2. 계정통합하기 (30콘)

3. 멜론 정기 결제

4. 친구에게 받기

 

처음 카카오콘 서비스를 시작하면 40콘부터 이용할 수 있습니다. 10콘이 기본으로 주어지고 다음, 카카오톡, 멜론 계정 등을 통합하면 30콘이 지급되기 때문입니다. 이후로는 멜론을 정기결제하거나 친구에게 받는 방법만 있는 것 같습니다. 콘 적립처는 추후 계속해서 추가된다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

 

멜론 정기 결제의 경우 정확한 지급량은 확인이 안되지만 이용 회차가 높아질수록 더 많은 콘이 지급된다고 합니다. 멜론을 정기 구독한 친구에게 물어보니 매월 46콘씩 지급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용 개월 수에 따라 차등 지급이라고 하니 사용자마다 다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수집한 카카오콘을 어떻게 이용하면 될까요?

카카오에서 안내하고 있는 사용법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10콘을 이용하여 카카오 메일을 만드는 것이고 두 번째는 1콘을 투자해 아티스트 응원 및 MMA2019 초대권을 받는 것입니다. 또 스페셜 콘 이모티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 콘이 소비되지는 않습니다.

 

카카오 메일은 현재 베타테스트 중인 서비스로 '개인 ID@kakao.com' 형태의 메일 주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카카오톡에서 메일까지 확인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간편하게 카카오톡에서 메일을 받아보시려면 원하는 ID를 얻기 위해서 빠르게 움직여야 하겠습니다. 카카오톡 계정 하나당 하나의 메일만 생성할 수 있고 중복된 ID를 만들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티스트 응원은 멜론 뮤직 어워드와 연동되어 투표를 하고 응원메시지를 남길 수 있습니다. 멜론 정기 결제를 하면 하루에 3번까지 투표가 가능합니다.

 

카카오는 콘을 활용한 다양한 보상 서비스를 진행한다고 밝히고 있는데요, 세계 여행권 관련된 콘텐츠나 브런치 작가 인증, 다음 웹툰 작가 인증, 카카오 미니 제공 등의 서비스를 준비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카카오콘 혜택

 

 

카카오 콘의 기술은 블록체인이지만 서비스 형태는 커뮤니티에서 볼 수 있는 보상 시스템과 유사해 보이기도 합니다. 활동 포인트를 지급하고 그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는 형태 말이죠. 기존에 있는 것을 새로운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도 카카오의 이미지 때문인 것 같습니다.

 

카카오가 앞으로 어떤 보상 서비스를 선보일지 기대가 됩니다. 카카오 콘 지급 투명성을 위해서만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게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서비스가 어느 정도 성공하면 확장성을 염두에 둔 것처럼 보입니다. 물론 뇌피셜입니다.

 

최근 카카오톡 채팅 목록에 광고 서비스 기능이 탑재되어 개인적으로 매우 아쉬웠는데요, 카카오의 매출이 뛰었을지는 모르지만 사용성이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카카오 콘이 아직은 제공 서비스가 다양하지 않지만, 광고 탑재로 인한 불편함을 퉁칠만한 보상 시스템으로 발전한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침.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맥북프로 시리즈에 이어 맥북에어 시리즈의 모델명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맥북에어 모델명은 가장 많은 변화를 겪은 2018년 모델부터 2019년까지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차피 CPU는 거의 전 라인이 듀얼코어로 극적인 차이가 없고, 2018년 이전 모델의 무게는 최신 맥북프로의 무게 대비 이점이 없습니다(1.3kg로 비슷함). 

 

2018년 이후의 맥북에어는 베젤이 트렌드에 맞게 얇아졌고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장착했으며 Touch ID 및 Force Touch 트랙패드가 탑재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트랙패드가 보다 더 넓어졌으며 True Tone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모델명을 네이버 쇼핑 등 최저가 비교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본인에게 맞는 스펙색상 상품을 바로 찾아볼 수 있고, 어떤 스펙의 맥북에어를 구매할지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2019년 모델

 

MVFH2KH/A, MVFJ2KH/A, MVFK2KH/A, MVFL2KH/A, MVFM2KH/A, MVFN2KH/A

 

 

2018년 모델

 

MRE82KH/A, MREA2KH/A, MREE2KH/A, MRE92KH/A, MREC2KH/A, MREF2KH/A, MUQT2KH/A, MUQU2KH/A, MUQV2KH/A

 

 

"각 모델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열될수록 좀 더 좋은 사양의 맥북에어 모델입니다."

 

2018년 모델에서 가장 좋은 사양으로 구매하고 싶다고 가정하고, 가장 오른쪽의 'MUQV2KH/A' 모델명으로 네이버 쇼핑에서 검색해보겠습니다.

 

 

 

검색 결과, 여러 판매처에서 해당 모델명의 맥북에어를 판매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모델명을 검색해보시면 원하는 색상과 스펙의 맥북에어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여기까지 맥북에어의 모델명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참고로 맥북에어 시리즈는 그래픽 및 동영상 작업이나 게임 플레이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문서 작업이나 웹서핑 등의 작업이 필요하신 분이라면 맥북에어의 모델명을 참고하셔서 구매를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및 '구독' 부탁드립니다.

즐거운 IT생활 되세요!

 

 

마침.

 

반응형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맥북프로 구매를 고민하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맥북프로의 모델명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2019년형 맥북프로의 모델명만 해도 13인치가 8개, 15인치가 4개나 되기 때문에 모델명을 알고 있으면 원하는 스펙의 맥북프로를 쉽게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모델명을 네이버 쇼핑 등 최저가 비교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본인에게 맞는 스펙의 해당 상품을 바로 찾아볼 수 있고, 어떤 스펙의 맥북프로를 구매할지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맥북프로 모델명은 쇼핑몰 검색이 잘 되지 않는 오래된 모델은 제외한 2015 ~ 2019년 모델만 정리했습니다. 그중 2019년 10월 현재, 쇼핑몰에서 검색이 되는 모델명들로 추렸습니다.

 

 

2019년 모델

 

13인치

MUHN2KH/A, MUHP2KH/a, MUHQ2KH/A, MUHR2KH/A (썬더볼트 2개)

MV962KH/A, MV972KH/A, MV992KH/A, MV9A2KH/A (썬더볼트 4개)

 

15인치

MV902KH/A, MV912KH/A, MV922KH/A, MV932KH/A

 

 

2018년 모델

 

13인치

MR9Q2KH/A, MR9R2KH/A, MR9U2KH/A, MR9V2KH/A

 

15인치

MR932KH/A, MR942KH/A, MR952KH/A, MR962KH/A, MR972KH/A, MUQH2KH/A

 

 

2017년 모델

 

13인치

MPXQ2KH/A, MPXR2KH/A, MPXT2KH/A, MPXU2KH/A (썬더볼트 2개)

MPXV2KH/A, MPXW2KH/A, MPXX2KH/A, MPXY2KH/A (썬더볼트 4개)

 

15인치

MPTR2KH/A, MPTT2KH/A, MPTU2KH/A, MPTV2KH/A, MPTX2KH/A

 

 

2016년 모델

 

13인치

MLL42KH/A, MLUQ2KH/A (썬더볼트 2개)

MLH12KH/A, MLVP2KH/A, MNQF2KH/A, MNQG2KH/A (썬더볼트 4개)

 

15인치

MLH32KH/A, MLH42KH/A, MLW72KH/A, MLW82KH/A

 

 

2015년 모델

 

13인치

MF839KH/A, MF840KH/A, MF841KH/A

 

15인치

MJLQ2KH/A, MJLT2KH/A

 

 

"각 모델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열될 수록 좀더 좋은 사양의 맥북프로 모델 입니다."

 

예를 들어, 2016년 모델에서 13인치 고급 옵션으로 구매하고 싶다고 가정하고 가장 오른쪽에 있는 'MNQG2KH/A' 모델명을 네이버 쇼핑에서 검색해 보겠습니다.

 

네이버 쇼핑 검색 결과

 

 

 

그러면 최저가 판매처와 11번가에서 해당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나머지 모델명들도 이런 방식으로 네이버 쇼핑이나 다나와 등 최저가 사이트에서 검색을 하면 모델명에 해당하는 맥북프로의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맥북프로 모델명 정리 1탄, 맥북프로의 모델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맥북프로를 구매하시는데 도움이 됐기를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즐거운 IT생활 되세요!

 

 

마침.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아는 사람만 알고 모르는 사람은 잘 모르는 알뜰폰 무제한 요금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알뜰폰이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가 SK, KT, LG의 기존 통신망을 임대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컫는 말입니다.)

 

국내 알뜰폰 이용자수가 800만 명이 넘는다는 걸 알고 계시나요? 저도 그 사용자 중에 한 명입니다. 원래 LG U+를 이용하다가 KT 요금제를 거쳐서 알뜰폰으로 넘어온 지 1년이 넘었는데요, 기존 통신사와 큰 차이도 없고 불편함 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알뜰폰을 찾게 된 이유는 아마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클 것입니다. 약정도 없기 때문에 그만 이용하고 싶을 때 맘 편히 서비스를 해지하면 됩니다. 기존 통신사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고, 기술적으로는 잘 모르겠지만 체감상 품질이 떨어지는 느낌은 없었습니다.

 

단점은 멤버십 제도가 없기 때문에 포인트 할인을 받을 수 없는 점이 있고 일부 사업자들은 고객센터 연결이 다소 힘든 부분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제한 요금제의 경우 기존 통신사의 25% 선택약정할인을 적용하더라도 알뜰폰 요금제가 더 저렴한 상품이 있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많게는 약 만 원 이상의 절약을 할 수 있으니 잘 몰랐던 분들은 한 번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어디에서 어떻게 알뜰폰 정보를 찾고 또 가입을 할 수 있을까요? 제가 소개드릴 서비스는 '알뜰폰 허브'라는 사이트 입니다. 네이버나 구글에서 해당 검색어로 검색해보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알뜰폰허브 사이트

 

사용자는 이 사이트를 통해 폰과 유심을 함께 구매하여 개통을 하거나 유심만 구매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휴대폰과 유심을 같이 구매하는 것은 크게 메리트가 없습니다. 각 통신사 Shop에서 구매하는 것과 금액적으로 별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

 

제가 살펴볼 서비스는 무제한 요금제이기 때문에 '맞춤요금제상품'이라는 메뉴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우선 해당 메뉴로 이동해보겠습니다.

 

맞춤요금제 조건검색

 

위 화면을 보시면 조건별 검색이라는 탭이 있고 그 아래의 통신사 모두, 유심, LTE, 통화량 무제한, 문자 매우많음, 데이터 매우많음으로 선택 후 검색 버튼을 누르면 설정하신 조건에 맞는 결과가 목록에 표시됩니다.

 

조건검색결과

 

결과 목록에서는 가격, 서비스 개요, 어느 통신망을 이용한 상품인지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드는 상품이 '7 mobile LTE 유심'이라는 제목의 상품이라고 하면 해당 목록을 클릭하여 요금제 신청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가입신청

 

서비스 가입은 위 화면에서처럼 알뜰폰 허브 사이트에서 해도 되고, 해당 서비스를 네이버나 구글에서 검색하셔서 사업자 사이트에서 직접 진행해도 됩니다.

 

서비스 가입 신청하실 때 주의하실 점은, 사용하시려는 폰이 선택하신 통신사의 통화 개통 이력이 있어야 합니다. 무엇때문에 새 폰에서 바로 이용할 수 없는지 정책을 잘 이해할 수 없지만, 번거롭더라도 확인을 하고 다음 스텝으로 넘어가야 합니다. 

 

저의 경우는 해외직구한 새 스마트폰에 유심을 끼워보니 바로 사용이 되긴 했었습니다. 알뜰폰 사업자별로 기준이 약간씩 다를 수도 있으니 가입 전 꼼꼼하게 문의하셔서 가입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한 가지 안드로이드 유저분들에게 통화 녹음에 관한 팁을 말씀드리자면, 최신 안드로이드OS 업데이트 및 보안 정책 변경으로 플레이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한 통화 녹음 앱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이슈를 알고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현재 이 기능이 가능한 앱은 제조사의 기본 통화 앱, 그중에서도 자급제폰을 제외한 통신사에서 출시한 폰(해당 통신사 유심 사용) 일 텐데요, 알뜰폰 유심도 기본 통화 앱에서 통화녹음이 가능합니다. SK텔레콤에서 출시한 폰을 중고로 구매하여 SK망을 이용한 알뜰폰 유심을 이용하니 기본 통화 앱에서 통화녹음 기능이 정상 동작을 했습니다.

 

이상 알뜰폰 무제한 요금제에 대한 저만의 팁을 공유해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및 '구독' 부탁드립니다!

모두 즐거운 IT생활 되세요~

 

 

마침.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