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공개된 아이폰 SE 2세대(이하 SE)는 아이폰 8을 계승하고 있습니다.

어떤 점이 다른지 핵심 내용만 정리해보겠습니다!

 

 

1. 프로세서와 메모리

 

SE는 아이폰 11에 탑재된 Apple A13 Bionic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모리는 3 GB입니다. 아이폰 8은 Apple A11 Bionic 프로세서와 2 GB의 메모리입니다. 여기서 오는 퍼포먼스 차이가 클 것입니다.

 

특히 게임을 즐기는 유저라면 그 차이를 바로 느낄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2. 저장공간

 

아이폰 8은 2019년 9월부터 256 GB 모델이 단종되었지만, SE는 64 / 128 / 256 GB 선택이 가능합니다.

 

 

3. 디스플레이

 

아이폰 8의 디스플레이는 고릴라 글래스 5이고, SE는 이보다 약 2배의 내구성을 가졌다고 알려진 고릴라 글래스 6을 탑재했습니다.

 

 

4. 카메라

 

SE는 심도 제어 기능을 통한 인물 사진 모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심도 센서가 아닌 소프트웨어 기술로 구현한 기능이지만 최신 아이폰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기에 환영할만한 일입니다.

 

최신 아이폰으로 인물 사진 모드를 이용해 사진을 찍어본 적이 있는데, 스튜디오에서 찍은 것처럼 결과물이 좋아서 만족스러웠습니다.

 

 

5. 3D 터치

 

아이폰 6S 시리즈부터 이어오던 3D 터치가, SE에서도 사라졌습니다. 기기만 두껍게하고 사용성이 낮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이 기능을 잘 활용했던 사용자분들은 아쉽긴 하겠네요. 하지만 햅틱 터치가 있으니까요...

 

 

6. 색상

 

아이폰 8은 골드, 실버, 스페이스 그레이, 레드 등 4가지 색상을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SE는 블랙, 화이트, 레드 3가지 색상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면의 색상은 모두 블랙이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7. 가격

 

아이폰 8의 시작 가격은 60만 원대였습니다. SE는 55만원 부터 시작입니다. 환율이 좀 더 유리했더라면 정말 혜자스러울 뻔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진짜 출시를 했습니다.

아이폰 SE가 2016년 3월 공개되었으니, 만 4년 1개월 만에 새로운 아이폰 SE가 대중들에게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스펙은 출시 전 떠돌았던 정보가 거의 맞아떨어졌고 디테일한 부분에서 아이폰 8과 차이점이 있었습니다.

 

  아이폰 SE 2세대 아이폰 8
프로세서 Apple A13 Bionic Apple A11 Bionic
메모리 3 GB (예상) 2 GB 
저장공간 64 / 128 / 256 GB 64 / 128 GB
디스플레이 4.7인치 1334 x 750
Retina HD Display (326 ppi)
고릴라 글래스 6
4.7인치 1334 x 750
Retina HD Display (326 ppi)
고릴라 글래스 5
카메라 전면 700만 화소
후면 1200만 화소 (OIS지원)
인물 사진 모드 지원
전면 700만 화소
후면 1,200만 화소 (OIS 지원)
배터리 1821 mAh
(예상, 아이폰 8과 비슷)
1821 mAh
규격 67.3 x 138.4 x 7.3 mm, 148 g 67.3 x 138.4 x 7.3 mm, 148 g
단자 USB 2.0 Apple Lightning 8-pin USB 2.0 Apple Lightning 8-pin
방수 방진 IP67 등급 IP67 등급
색상 블랙, 화이트, 레드 골드, 실버, 스페이스 그레이, 레드
기타 지문인식
3D 터치 미지원
유선 고속 충전
무선 충전 (Qi)
지문인식
3D 터치 지원
유선 고속 충전
무선 충전 (Qi)

 

아이폰 SE 2세대는 아이폰 8을 계승하면서 외관은 비슷하지만 성능은 더 좋아졌습니다.  특히 카메라가 높아진 프로세서 성능 덕분에 한층 더 좋아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심도 제어로 인물 사진 모드가 사용 가능해졌고요.

이번 모델이 합리적으로 잘 나왔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가격입니다. OIS 기능과 방수 방진을 안 넣어줄 거라고 생각했었는데, 화면 비율이 최신 스마트폰 트렌드에 맞지 않다 뿐이지 거의 플래그십 스펙으로 나왔습니다. 그런데 가격이 55만 원부터 라니... 아이폰 11이 99만 원부터인 것을 볼 때 정말 매력적인 가격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한편으론 이제 정말 스티브 잡스의 자취를 느낄 수 없는 아이폰이 되어버려서 안타깝긴 합니다. 4.7인치로 화면이 커진 아이폰은 현재 애플의 수장인 팀 쿡의 첫 출시작이었으니까요.

 

작년까지만 해도 1세대 사이즈에 노치 디자인으로 출시될 수도 있다는 루머가 있었기 때문에 내심 기대를 했었습니다. 이런 사이즈의 아이폰이 나온다면 정말 재밌겠다는 생각이 들었었거든요. 팀 쿡 체제에서는 유저 데이터 중심으로 제품을 기획하는 것 같아 앞으로 보기 힘들 듯하네요.

 

아무튼 지난 아이폰 공개 때 인덕션 공포로 적잖이 충격을 받았던지라, 이번 모델의 출시가 아주 반갑게 느껴졌습니다. 애플 케어도 약 16만 원대에서 10만 원대로 가격이 낮아졌기 때문에 괜찮은 가격으로 책정된 듯합니다.

 

공홈에서 자세히 스펙을 살펴보면서 어떤 점이 더 좋아졌는지 확인해봐야겠습니다. 어서 주문이 가능해졌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반응형

2020년에도 소형 SUV가 대세인 것 같아서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셀토스 XM3 코나 트레일
블레이저
베뉴 티볼리
제조사 기아 르노삼성 현대 쉐보레 현대 쌍용
가격 1천만 원 후반~
2천만 원 후반
1천만 원 후반~
2천만 원 후반
1천만 원 후반~
2천만 원 중반
1천만 원 후반~
2천만 원 후반

1천만 원 중반~
2천만 원 중반

1천만 원 중반~
2천만 원 중반
연비
(가솔린)
10.9~12.7km/l 13.2~13.7km/ℓ 11.0~12.8km/l 11.6~13.2km/ℓ 13.3~13.7km/ℓ 10.2~12.1km/ℓ
연비
(디젤)
14.8~17.6km/l - 14.6~17.5km/l - - 13.6~14.5km/ℓ
출력
136~177hp 123~152hp 136~177hp 139~156hp 123hp 136~163hp
토크 27~32.6kg.m 15.8~26kg.m 27~32.6kg.m 22.4~24.1kg.m 15.7kg.m 26.5~33kg.m
배기 1,591~1,598cc 1,332~1,598cc 1,591~1,598cc 1,199~1,341cc 1,598cc 1,497~1,597cc
엔진
(가솔린)
1.6ℓ 감마
터보 GDi 
1.6GTe,
TCe260
1.6ℓ 감마
터보 GDi 
E-Turbo 1.2,
E-Turbo 1.35
1.6ℓ 스마트
스트림 MPI 
1.5ℓ 터보
엔진
(디젤)
1.6ℓ U3
e-VGT
- 1.6ℓ U3
e-VGT
- - 1.6ℓ LET
친환경 
구동 AWD, FF FF 4WD, FF AWD, FF FF AWD, FF
변속 DCT7단 CVT, DCT7단 DCT7단 자동9단, CVT 수동6단, CVT 자동6단,
수동6단
전장
(mm)
4,375 4,570 4,165 4,410~4,425 4,040 4,225
전폭
(mm)
1,800 1,820 1,800 1,810 1,770 1,810
전고
(mm)
1,600~1,620 1,570 1,565 1,635~1,660 1,565~1,585 1,615~1,620
축거
(mm)
2,630 2,720 2,600 2,640 2,520 2,600

 

자세한 가격은 각 차종의 모델과 옵션에 따라 천차만별이라 기호에 맞게 잘 선택하셔서 알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최저 옵션으로 한다면 2천만 원 내외, 풀옵션으로 간다면 3천만 원이 넘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반응형
반응형

코로나19의 여파로 연기됐던 아이폰 SE의 후속작에 대한 정보가 최근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빠르면 이번 주, 늦으면 다음 주에 공개되거나 공개 일정이 발표된다고 합니다. 한국에는 5월에 출시된다는 썰도 있습니다.

 

최근 확인된 스펙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폰 SE 2020
프로세서 Apple A13 Bionic
메모리 3 GB
저장공간 64 / 128 / 256 GB
디스플레이 4.7인치 1334 x 750
Retina HD Display (326 ppi)
최대주사율 60 Hz
고릴라 글래스 6
네트워크 5G미지원
카메라 전면 700만 화소
후면 1200만 화소
규격 67.3 x 138.4 x 7.8 mm, 148 g
단자 USB 2.0 Apple Lightning 8-pin
기타 지문인식
IP67 등급 방수 방진 

 

 지난 번과 달라진 점은 저장공간 옵션의 선택지가 늘었고(256 GB 추가), 고릴라 글래스 디스플레이 정보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IP67 등급 방수 방진도 지원한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후면 카메라에 OIS 기능이 있을지는 아직 확인되고 있지 않습니다. 이 부분도 지원이 되어야 완벽한 아이폰 8의 리프레시 버전이 되기 때문에 꼭 포함되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이제 조금만 더 기다리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아이패드 프로 4세대와 함께 새로운 맥북 에어도 출시되었습니다.

 

리프레시 버전이었던 2019년에 비해 또 어떤 점이 개선되어 공개되었는지, 이전 모델과 비교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9년 모델 vs 2020년 모델

 

  2019년 모델 2020년 모델
프로세서 1.6GHz 듀얼 코어 i5 (4MB L3 캐시) 1.1GHz 듀얼 코어 i3(4MB L3 캐시)
1.1GHz 쿼드 코어 i5(6MB L3 캐시)
1.2GHz 쿼드 코어 i7(8MB L3 캐시)
그래픽 Intel UHD Graphics 617 Intel Iris Plus Graphics
메모리 8 / 16 GB (LPDDR3) 8 / 16 GB (LPDDR4X)
저장공간 128 / 256 / 512 GB / 1 TB 256 / 512 GB / 1 / 2 TB
디스플레이 13.3 LED 백라이트 디스플레이(IPS) 2560 x 1600 (227ppi)
규격 30.41 cm x 21.24 cm x 1.56 cm, 1.25kg 30.41 cm x 21.24 cm x 1.61 cm, 1.29kg
단자 3.5mm 헤드폰 잭 x 1
Thunderbolt 3 (USB-C) x 2
3.5mm 헤드폰 잭 x 1
Thunderbolt 3 (USB-C) x 2
기타 - 가위식 키보드 탑재

 

 

새 맥북 에어는 지난 모델에 비해 비약적으로 성능이 향상되고도 가격이 저렴해진, 아주 착한 리프레시 버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프로세서, 그래픽, 메모리 등 주요 스펙이 모두 향상되었고 맥북 프로 16인치와 같이 호평을 받았던 가위식 키보드로 변경되었습니다.

 

프로세서가 업그레이드되었다고는 하나, 여전히 'Y' 모델명으로 하는 CPU이기 때문에 맥북 프로와 같은 성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한계는 있습니다. 고사양의 그래픽 작업이나 동영상 편집을 하지 않는다면 꽤 괜찮은 성능을 기대해 볼 수 있겠습니다.

 

두께와 무게가 살짝 더해진 점은 약간 아쉽네요.

 

 

 

지금까지 2020년에 새롭게 공개된 맥북 에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기본 모델을 놓고 보면 최신 모델의 용량이 256부터 시작하면서 가격은 10만 원 이상 저렴하기 때문에 좋은 선택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맥북 에어의 출시를 놓고, 14인치의 맥북 프로가 출시될 거라는 루머가 돌고 있습니다. 사실 여부는 지켜봐야 하겠지만, 무게를 지키면서 더 화면이 넓고 사양이 좋은 맥북 프로가 나온다면 맥북 에어와의 포지셔닝이 더 확실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가뭄의 단비와 같은 소식입니다. 새 아이패드 프로가 약 1년 반 만에 공개되었습니다!

코로나 19의 여파로 애플의 3월 행사 얘기도 백지화되었고, 아이폰 SE2(혹은 아이폰 9) 등 애플의 새 기기 출시가 연기될 거라는 소문이 무성한 요즘이었기 때문입니다.

 

어떤 점이 개선되었고 변화가 있는지 이전 세대와 비교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패드 프로 11형

 

  4세대 3세대
프로세서 Apple A12Z Bionic Apple A12X Bionic
메모리 6 GB 4 / 6 GB
저장공간 128 / 256 / 512 GB / 1 TB 64 / 256 / 512 GB / 1 TB
디스플레이 11.0인치 4.3:3 비율 2388 x 1668 Liquid Retina HD Display (264 ppi)
최대 주사율 120 Hz
네트워크 5G 지원안함, Wi-Fi 6 지원 5G 지원안함
카메라(전면) 700만 화소 700만 화소
카메라(후면) 기본 1,200만 화소
광각 1,000만 화소
LiDAR 스캐너 탑재
1,200만 화소
배터리 ? mAh 7812 mAh
규격 178.5 x 247.6 x 5.9 mm, 471 g
473 g(셀룰러)
178.5 x 247.6 x 5.9 mm, 468 g
단자 USB 3.1 Gen2 Type-C x 1
Apple Smart Connector x 1
Apple Magnetic Connector x 1
생체인식 얼굴인식
운영체제 iPadOS 13
애플펜슬 2세대 지원

 

 

아이패드 프로 12.9형

 

  4세대 3세대
프로세서 Apple A12Z Bionic Apple A12X Bionic
메모리 6 GB 4 / 6 GB
저장공간 128 / 256 / 512 GB / 1 TB 64 / 256 / 512 GB / 1 TB
디스플레이 12.9인치 4:3 비율 2732 x 2048 Liquid Retina HD Display (264 ppi)
최대 주사율 120 Hz
네트워크 5G 지원안함, Wi-Fi 6 지원 5G 지원안함
카메라(전면) 700만 화소 700만 화소
카메라(후면) 기본 1,200만 화소
광각 1,000만 화소
LiDAR 스캐너 탑재
1,200만 화소
배터리 9720 mAh
규격 214.9 x 280.6 x 5.9 mm, 641 g / 643 g 214.9 x 280.6 x 5.9 mm, 631 g / 633 g
단자 USB 3.1 Gen2 Type-C x 1
Apple Smart Connector x 1
Apple Magnetic Connector x 1
생체인식 얼굴인식
운영체제 iPadOS 13
애플펜슬 2세대 지원

 

 

가격은 이전 세대와 거의 비슷하지만, 1TB의 경우 30만 원 이상 저렴해져서 좀 놀랐습니다. 규격과 외관상 큰 차이가 없어 보이고 색상도 스페이스 그레이와 실버 두 종류로 동일합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프로세서 업그레이드와 카메라로 보이며, 카메라의 경우 후면이 듀얼로 바뀌고 LiDAR 스캐너라는 새로운 모듈이 추가되었습니다.

 

LiDAR 스캐너는 심도 측정 센서의 일종으로 최대 5m 간격으로 떨어진 주변 물체까지의 거리를 단시간 내로 측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 '프로'라는 네이밍에 맞게 전문직 사용자의 사용성을 증대 시기키 위해 탑재된 모듈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매직 키보드'라는 아이패드 프로 전용 무선 키보드가 함께 출시되었는데요, Apple Smart Connector를 통해 아이패드와 연결하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아이패드 3세대와 4세대 모두 매직 키보드와 연동되기 때문에 아이패드 프로 4세대와 3세대의 차이점은 크게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애플스토어에서 이미 아이패드 프로 3세대를 4세대로 대체하여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3세대를 구하려면 오프라인 방문을 통해 매장에서 알아보거나 오픈마켓에서 구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가격과 스펙을 잘 살펴보시면 중고가 아니라면 새 상품을 굳이 3세대로 구매할 이유는 없어 보이네요.

 

여기까지 애플의 새 아이패드 프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서 이 답답한 바이러스 사태가 마무리되어서 애플의 다른 새 제품도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모두 건강 유의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모토로라 레이저 어떡하냐~'

 

갤럭시 Z 플립의 출시를 보고 가장 먼저 뇌리를 스친 생각입니다. 디자인 호불호가 있겠지만 스펙과 가격 경쟁력이 매우 없어 보였기 때문입니다.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갤럭시 Z 플립의 스펙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갤럭시 Z 플립 스펙 정보

 

  갤럭시 Z 플립 모토로라 레이저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855 스냅드래곤 710
메모리 8 GB 6 GB
저장공간 256 GB 128 GB
디스플레이 (메인) 6.7인치 21.9:9 비율 2636 x 1080
Infinity-O Flex Display (425 ppi)
6.2인치 21:9 비율 2142 x 876
Foldable pOLED
디스플레이 (커버) 1.1인치 300 x 112 Super AMOLED (303 ppi) 2.7인치 4:3 비율 800 x 600 gOLED
네트워크 5G 지원 안함
카메라 (내부) 1,000만 화소 500만 화소
카메라 (후면) 기본 1,200만 화소 (OIS)
광각 1,200만 화소
기본 1,600만 화소
배터리 3300 mAh 2510 mAh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10 안드로이드 9
규격 73.6 x 87.4 x 15.4 mm (접힌 상태)
73.6 x 167.9 x 6.9 mm (펼친 상태)
72 x 172 x 6.9 mm, 205 g (펼친 상태)
단자 USB 2.0 Type-C x 1 USB 3.1 Type-C x 1
생체인식 지문인식, 얼굴인식
기타 방수 방진 지원 안함 방수 나노 코팅
출고가 165 만원 (국내) $1,500 (미국)

 

 

보이는 스펙만 봐도 모토로라 레이저가 갤럭시 Z 플립보다 비교 우위가 되는 부분이 거의 없습니다. 굳이 찾자면 단자가 최신이라는 점이고 구매 조건에 큰 영향을 줄 것 같지는 않습니다. 방수 나노 코팅이 되어있긴 하지만 방수가 되는 건 아니고 물에 대한 내성이 약간 좋아진다고 합니다.

 

가격도 비슷한데, 굳이 해외에서 직구를 하여 모토로라 레이저를 사용해야 하나 생각이 들 정도로 모토로라 레이저의 이점이 보이질 않습니다. 갤럭시 Z 플립의 스펙이 거의 플래그십에 준하는데 반해, 모토로라 레이저는 중급폰 정도의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갤럭시 Z 플립은 최신 OS인 안드로이드 10을 탑재했고, 모토로라 레이저는 2년 전 공개된 안드로이드 9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신 OS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와... 이 정도면... 삼성전자가 정말 폰을 잘 만든다고 인정할 수밖에 없겠습니다. 현존하는 폴더블 폰 중에는 삼성전자의 Z 시리즈가 최강인 것 같습니다.

 

요즘 모토로라 레이저의 내구성이 혹평을 받고 있기 때문에 갤럭시 Z 플립이 더 승승장구할 것이라 기대가 되네요.

 

가격이 좀 부담이긴 한데... 함께 출시된 갤럭시 S20 Ultra 보다 살짝 더 비쌉니다. 1억 800만 화소를 선택해야 할지, 폴더블 감성을 누려야 할지, 고민이 좀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갤럭시 IS BACK!!!

 

2020년 2월, 갤럭시의 새로운 시리즈가 드디어 출시되었습니다. 현존하는 애플의 아이폰과 더불어 최고의 스마트폰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는 만큼 출시 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었는데요, 1억 800만 화소와 100배 줌의 카메라가 탑재되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그 관심이 더 커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출시된 갤럭시는 S20, S20+, S20 Ultra 세 라인업으로 출시되었습니다. 각 제품의 스펙을 살펴보면서 어떤 점이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갤럭시 S20 시리즈 스펙 정보

  S20 S20+ S20 Ultra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865 (엑시노스 9 시리즈)
메모리 12 GB
저장공간 128 GB 256 GB
화면 비율 6.2인치 6.7인치 6.9인치
디스플레이 세부 20:9 비율 3200 x 1440 Infinity-O Display (563 ppi)
최대 주사율 120 Hz, 고릴라 글래스 6, HDR10+ 지원
네트워크 5G 지원
카메라 전면 전면 1,000만 화소
카메라 후면 기본 1,200만 화소 (OIS)
망원 6,400만 화소 (OIS)
광각 1,200만 화소
기본 1,200만 화소 (OIS)
망원 6,400만 화소 (OIS)
광각 1,200만 화소
심도 VGA급
기본 1억 800만 화소 (OIS)
망원 4,800만 화소 (OIS)
광각 1,200만 화소
심도 VGA급
배터리 4000 mAh
유/무선 고속충전 지원
4500 mAh 5000 mAh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10
규격 69.1 x 151.7 x 7.9 mm, 163 g 73.7 x 161.9 x 7.8 mm, 186 g 76 x 166.9 x 8.8 mm, 220 g
단자 USB 3.1 Type-C x 1
생체인식 지문인식, 얼굴인식
기타 IP68 등급 방수 방진
AKG 튜닝 및 Dolby Atmos 기술 탑재

 

 

이번 갤럭시 시리즈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카메라 기능 강화와 배터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카메라 스펙이 전체적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그에 따른 기능 향상이 이뤄졌습니다. S20과 S20+는 최대 30배, Ultra는 최대 100배까지 줌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에서 8K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FHD+ 해상도까지만 지원하긴 하지만(WQHD+ 화면에서는 미지원), 120Hz 디스플레이를 지원하기 때문에 새 갤럭시에서는 더 선명한 화면을 경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보통 120Hz 주사율을 사용하면 배터리 소모가 심해지기 때문에 장단점이 존재하지만 이전 모델과는 다른 배터리 용량을 가지고 출시됐기 때문에 어떠한 배터리 라이프를 보여 줄지 기대가 되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사운드와 메모리 성능이 강화되는 등 전반적으로 향상된 스펙을 가지고 출시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그리고 최신 안드로이드 OS인 안드로이드 10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새로 출시된 갤럭시가 2020년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장을 어떻게 찢어버릴지 기대가 됩니다. 1억 800만 화소라는 전무후무한 기본 렌즈를 가진 Ultra 모델이 특정 사용자에게는 매우 매력적으로 다가갈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쉬운 부분은 가격입니다. 갤럭시 S20이 약 125만 원, S20+ 약 135만 원, S20 Ultra 약 160만 원으로 최근 출시된 갤럭시 노트 시리즈보다 약 20만 원 높게 가격이 책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선택은 소비자의 몫이지만 제 기준으론 최신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가격이 점점 올라가는 것 같아서 부담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삼성전자 판매 공식홈에서 2월 26일까지 사전 구매 혜택 이벤트가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갤럭시 S20 시리즈의 스펙 정보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요즘 고민이 있습니다.

출시된지 3년이 되어가는 닌텐도 스위치를 사야하나 말아야 하나...

 

하루 일과를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아무 생각없이 쉬고 싶을 때가 많은데, 게임을 하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 그런데! 컴퓨터 앞에 앉아서 또 무언갈 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퀘스트를 깨고 있노라면 업무나 과제를 하고 있는 느낌이 들 때도 있기 때문입니다.

 

심신의 평화를 위해 소파나 침대에 누워서 연체동물처럼 흐물흐물하고 있을 때, 넷플릭스나 유튜브를 보곤 하지만 손이 근질근질하기도 하여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합니다. 하지만 조작감이 아쉽습니다.

 

아... 그래서... 라는 생각을 하면서 닌텐도 스위치에 눈을 돌리게 됐습니다.

 

 

2017년 12월 국내 출시

된 닌텐도 스위치는 많은 게임 유저들의 관심을 받으며 현재까지 5천만 대 이상의 누적 판매량을 보이고 있습니다. 닌텐도 스위치는 스마트폰처럼 휴대용으로 조작 가능하며 자체 독에 거치를 하면 TV나 모니터를 통해서도 게임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닌텐도 스위치는 작년에 출시된 '라이트' 버전까지 두 모델이 존재합니다. 2019년 7월, 닌텐도 스위치 라이트 모델과 함께 저전력형으로 부품이 업그레이드된 신공정 닌텐도 스위치가 발매되었는데 구형과 잘 구분하여 구매하셔야 합니다. 신형은 제품코드에 'HAD'가 있는지 확인하면 된다고 합니다.

 

 

닌텐도 스위치 라이트의 차이점은

 

  • 컨트롤러 일체화, HD 진동/IR 카메라/모션 센서 없음
  • 휴대 전용, 독 모드 없음
  • 디스플레이 6.2 -> 5.5인치, 무게 398g -> 275g 변경
  • 구형 스위치보다 배터리 지속 시간 길고, 신형보다는 짧음
  • 자동 밝기 조절 제거, 수동으로 조절
  • 보안 결함 개선
  • 스피커 위치 변경

등 입니다. 가정용 기능을 뺀 휴대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닌텐도 스위치의 주요 독점작입니다.

 

  • 마리오 카트 8 디럭스
  • 젤다의 전설 :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 몬스터 헌터 더블 크로스
  • 슈퍼마리오 오디세이
  • 제노블레이드 2

젤다의 전설과 마리오 시리즈는 워낙 유명하기도 하고 어렸을 때부터 즐겨하던 작품들이라 필수로 플레이해야하는 게임인 것 같습니다. 이 외에도 독점작은 물론 다른 플랫폼과 함께 출시된 수많은 게임을 닌텐도 스위치에서 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닌텐도 스위치 기본 모델과 라이트 모델의 가격이 10만 원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 잘 고민해보고 구매할 계획입니다. 뇌피셜이지만, 신공정 모델이 2019년 7월에 출시되었기 때문에 올해 새 모델이 출시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내년에 신 모델이 나온다고 해도 1년 이상 플레이 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 구매해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출시한지 꽤 오래된 제품이지만, 누워서 콘솔 게임을 즐겨보고 싶은 저로서는 괜찮은 선택이 될 듯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0년에 출시 예정인 애플의 라인업 정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거의 확실한 부분도 있지만 루머성 정보가 대부분이니 참고 바랍니다.

 

 

1. 아이폰

 

- 아이폰 9 (아이폰 SE2)

전문가들에 따르면 3월 말 출시가 확실해지고 있습니다. 아이폰 8의 외형을 그대로 승계하는 아이폰 9가 곧 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아이폰 12

매년 가을이 되면 새 아이폰에 대한 기대가 높아집니다. 올해는 5G를 탑재한 아이폰이 출시가 된다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5G 사용이 가능한 국가에서만 5G 모델을 출시하고, 그 외의 국가에서는 LTE 모델을 출시한다고 합니다.

 

 

2. 아이패드 프로

아이패드 프로 4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애플이 대략 1.5년을 주기로 새 아이패드 프로를 공개했기 때문에, 2020년 상반기에 새 모델을 공개하지 않을까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AR 기술을 위한 카메라가 추가되고 인덕션 디자인이 적용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3. 맥북 프로

기존 맥북 프로의 리프레시 모델이 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인텔이 아닌 ARM 칩을 사용할 것이라는 루머가 여전히 있다고 합니다.

 

 

4. 아이맥

맥은 2006년 알루미늄 바디를 시작으로 지금의 외형이 완성되었는데, 아이패드 프로와 유사한 베젤리스 디자인으로 변경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맥 라인업은 자주 출시되지 않고, 최근에는 2년 주기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는 추세라(2019년 리프레시 모델 출시) 2020년에 새 아이맥을 볼 가능성이 낮지 않을까 조심히 점쳐봅니다.

 

 

 

 

지금까지 2020년 애플의 출시 라인업에 대해서 예상 정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아이폰 외에는 아직은 루머성 정보들이라 개인적으로 크게 기대하고 있지 않지만, 애플이 열일해서 꼭 올해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애플이 아이폰에 5G 기술을 접목할지도 매우 궁금합니다. 소문만 무성한게 아닐까 살짝 걱정되기도 합니다.

 

2020년, 애플이 우리에게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함께 지켜봅시다!

반응형

+ Recent posts